24절기
봄 입춘 (立春) 우수 (雨水) 경칩 (驚蟄) 춘분 (春分) 청명 (淸明) 곡우 (穀雨)
여름 입하 (立夏) 소만 (小萬) 망종 (芒種) 하지 (夏至) 소서 (小暑) 대서 (大暑)
가을 입추 (立秋) 처서 (處暑) 백로 (白露) 추분 (秋分) 한로 (寒露) 상강 (想降)
겨울 입동 (立冬) 소설 (小雪) 대설 (大雪) 동지 (冬至) 소한 (小寒) 대한 (大寒)
24절기는 계절 가늠의 기준이 될 뿐 아니라,
이 가운데에는 명절 또는 그에 버금하는 날들도 있다.
세시풍속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여 다달이 행해지는 주기전승의례로서,
계절에 따른 의례라 하여 계절의례, 또는 계절제라고도 한다.
우리의 계절은 음력 정월을 시작으로 3개월 단위로 춘하추동(春夏秋冬)을 구분하여 왔다.
우리가 흔히 음력이라 말하는 것은 원래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의 준말로서
동양에서는 계절을 바로 알기 위해 12절기와 12중기로 된 24기(氣)를
음력의 역일(曆日)에 배당하여 썼다.
태음태양력(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어려울 때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역일과 계절 사이에 한 달의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특히 음력 윤달이 든 해에는 같은 달이 반복되기 때문에
계절을 가늠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래서 음력에서는 24기를 정하여 쓴다.
이는 춘분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황도(黃道)를 동쪽으로 향해
15도의 간격으로 1기(氣)씩 배당한 것이다.
태양은 황도 상을 동으로 이동하여 1태양년에 천구를 1주하는데
각 기(氣)를 양력의 대략 일정한 날에 지나게 된다.
그래서 양력으로는 날짜가 일정하지만 음력으로는 일정하지 않을 뿐더러
24절기가 우리 기후와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는다.
우리 속담에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왔다가 얼어 죽었다.'는 속담이 있다.
이는 대한 때보다 소한 때가 더 춥다는 뜻으로,
이러한 속담은 24기가 우리나라의 기후에 맞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원래 24기의 이름은 주(周)의 왕조가 득세할 때
화북(華北)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대체로 계절을 알려줄 뿐 아니라 음력에 윤달을 두는 지표가 된다는 데에 뜻이 있다.
24절기에서, 12개의 절기는 양력 월 상순에, 12개의 중기는 하순에 1개씩 들어있다.
동양에서는 4계절을 각각 입춘ㆍ입하ㆍ입추ㆍ입동부터 시작 되는 것으로 하고
중춘(仲春)의 월중을 춘분, 중하(仲夏)의 월중을 하지,
중추(仲秋)의 월중을 추분, 중동(仲冬)의 월중을 동지로 정함으로써 4계절의 구분이 분명하다.
서양에서는 2분(分) 2지점(至點)을 경계로 하여 4계절을 나누고 있다.
24기에 순차로 매겨 둔 번호를 기번(氣番)이라고 말한다.
대개의 경우 동지를 0 으로 하고 소한 1, 대한 2 등으로 기번을 매겨 나간다.
이와 같이 동지의 기번을 0 이라 한 까닭은 고대 동양력에서
역의 계산의 출발점을 동지에 두었기 때문이다.
태음태양력에서는 동짓날을 1월에 두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번이 언제나 고정된 것은 아니다.
송나라의 원가력(元嘉曆)의 경우는 우수(雨水)를 기번으로 했다.
계절을 가늠하게 하는 24절기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봄의 첫 달인 정월에는 24기 가운데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立春)과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우수(雨水)라는 절기가 있다.
입춘이 때로는 음력 섣달에 드는 수도 있다.
원래 24절기가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세분한 것이기 때문에
양력 날짜에 고정되어 있어 입춘은 양력 2월 4일께가 되며 우수는 2월 19일이 된다.
2월에는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 나온다는 경칩(驚蟄, 양력 3월 6일께)과
봄기운이 이미 가운데로 들어섰다는 춘분(春分, 양력 3월 21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3월에는 만물이 맑고 깨끗하며 밝고 정결하게 생장케 한다는 청명(淸明, 양력 4월 5일께)과
비가 충분히 내려서 곡식이 잘 자도록 한다는 곡우(穀雨, 4월 20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여름의 첫 달인 음력 4월에는 여름철이 이미 들어섰다는 입하(立夏, 양력 5월 6일께)와
작물이 자라나서 약간의 곡식이 여문다는 소만(小滿, 양력 5월 21일께)이 들어 있다.
5월에는 보리를 베고 벼를 심는다는 망종(芒種, 양력 6월 6일께),
여름에 이르렀음을 알리며 음기(陰氣)가 처음으로 생기고 해가 북쪽으로 이동한다는
하지(夏至, 양력 6월 21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6월은 아주 더운 달임을 대(大)와 소(小)로 나누어서,
더위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소서(小暑, 양력 7월 7일께)와
대서(大暑, 7월 23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가을의 첫 달인 7월에는 가을에 들어섰다는 뜻의 입추(立秋, 양력 8월 8일께)와
더운 기운이 장차 물러나고 더위가 점차적으로 그친다는
처서(處暑, 양력 8월 23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8월에는 음기(陰氣)가 점점 더해가면서 이슬이 백색으로 된다는 백로(白露, 양력 9월 8일께)와
가을 기운이 이미 가운데로 접어들었다는 추분(秋分, 양력 9월 23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으며,
9월에는 이슬이 차가운 기운에 의하여 장차 응결되려고 한다는 한로(寒露, 양력 10월 8일께)와
이슬이 응결하여 장차 서리가 되어 내린다는 상강(霜降, 양력 10월 23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겨울의 첫 달인 10월은 겨울철이 이미 다가왔다는 입동(立冬, 양력 11월 7일께) 과
서리가 더하여 눈이 되지만 적게 내린다는 소설(小雪, 양력 11월 23일께)의 절기가 있다.
동짓달은 매우 춥고 눈이 많이 온다는 대설(大雪, 양력 12월 7일께)과
겨울이 극에 달았지만 양기(陽氣)가 비로소 생기고 태양이 남쪽에 이른다는
동지(冬至, 양력 12월 22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으며,
섣달은 추위가 극심함을 알리는 소한(小寒, 양력 1월 6일께)과 대한(大寒, 양력 1월 21일께)의
절기가 들어 있다.
이처럼 절기와 중기가 다달이 들어 있으면서 계절의 특성을 말해주지만
이들 24기와 우리나라의 기후가 정확하게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밝힌 것처럼 24기의 이름은 주(周)왕조 때 화북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과 같이 생태계가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에서는 더욱이 들어맞기 어렵다.
하지만 우리 기후와는 다르다 하더라도 우리의 오랜 주 생업이었던
농경과 관련하여 24기는 상당한 구실을 했다.
그래서 24기 가운데에는 동지처럼 큰 명절도 있고
비록 명절은 아니지만 그에 버금하는 날들도 상당히 있었다.
이는 24기가 우리의 세시명절, 그리고 이때에 행하는 세시풍속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절기와 중기로 된 24기보다도 더 구체적으로 기후의 연간 변동을 나타낸 것이 72후(候)이다.
이는 중국의 춘추시대에 이미 주공(周公)이 제정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역에 채택되기는 위시대(6세기초)의 정광력(正光曆)부터이다.
이에 따르면 1년은 4계, 1계는 3개월, 1월은 2기, 1기는 3후, 1후는 5일,
1일은 4진(辰), 1진은 3시(時)로 나뉘어 1년은 72후가 된다.
절기와 중기로 된 24기보다도 더 구체적으로 기후의 연간 변동을 나타낸
각 기를 초후(初候)ㆍ중후ㆍ말후의 3후로 구분하였다.
24기와 72후는 중국의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기후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을 뿐 더러 72후의 내용이 수시로 약간씩 바뀌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