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立春)
24절기 중의 첫 번째 절기.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인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이다.
정월은 새해에 첫 번째 드는 달이고, 입춘은 대체로 정월에 첫 번째로 드는 절기이다.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로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 한다.
입춘 전날이 절분(節分)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며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 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벌어진다.
그 중 하나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이다.
이것을 춘축(春祝), 입춘축(立春祝)이라고도 하며,
각 가정에서 대문기둥이나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을 말한다.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손수 입춘축을 쓰거니와,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남에게 부탁해서 써 붙이기도 한다.
다만 상중에 있는 집에서는 하지 않는다.
한편, 대궐에서는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 붙였는데,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다.
사대부집에서는 흔히 입춘첩을 새로 지어 붙이거나
옛날 사람들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쓴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풍흉을 가려보는 농사 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입춘문은 대개 정해져 있으나 가장 널리 쓰이는 입춘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 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자손만세영(子孫萬世榮) 천증세월인증수(千增歲月人增壽),
춘만건곤복만가(春滿乾坤福滿家), 문영춘하추동복(門迎春夏秋冬福)
호납동서남북재(戶納東西南北財) 와 같은 문구가 가장 널리 쓰여 진다.
우수( 雨水)
24절기의 두번째 절기.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으며, 입춘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이 된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맘때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튼다.
예로부터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라는 말이 있다.
태양의 황경이 330 에 올때 우수입기일(雨水入氣日)이 되는데, 음력으로는 정월 중기이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입기일 이후 15일 동안의 기간을
삼후(三候)로 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첫 5일간은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한편, 우수 무렵이 되면 수달은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림과 동시에
물 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한다.
원래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마지막 5일간 즉 말후(末候)에는 풀과 나무가 싹이 튼다
경칩(驚蟄)
24절기의 하나.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45˚에 해당될 때이다.
음력으로는 2월 중에, 양력으로는 3월 5일 경이 된다.
경칩은 글자 그대로 땅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무렵이 된다.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아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일 에 개구리 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오고 있다.
지방에 따라서는 도롱뇽 알을 건져 먹기도 한다.
또,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한다.
한편, 경칩 날에 보리쌀의 형상을 보아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예측할 수 있다고도 한다.
또한,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
춘분(春分)
24절기의 하나. 태양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이며,
음력 2월, 양력 3월 21일경이다.
태양은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 지구상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춘분점은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다.
춘분을 전후하여 철 이른 화초는 파종을 한다.
그리고 아울러 화단의 흙을 일구어 얼마 남지 않은 식목일을 위하여 씨 뿌릴 준비를 한다.
춘분에 즈음하여 농가에서는 농사 준비에 바쁘다.
특히, 농사의 시작인 초경(初耕)을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 해 동안 걱정 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음력 2월 중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배도 타지 않는다.